대한민국은 주택이 자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고 합니다.
집집 난리인데..
대한민국 자가 비율은 얼마나 되는 건지 알아보 았습니다.
자가 점유비율
주택보급률이 아닌 자가보유율 입니다.
거주를 하는 안하는지 상관없고, 주택을 소유한 가구의 비율입니다.
■ 자가점유비율 추이
ㅇ 가구의 점유형태에 따른 자가점유율이 ‘70년 이후 ’90년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다 ‘95년 53.3%로 증가하였으며 '00년에는 54.2%로, '05년에는 55.6% 증가하였으나, '10년에는 54.2%로 1.4%p 감소하였고, `15년에 56.8%로 다시 증가
*자가점유율:71.7%(‘70년) → 58.6%(’80년) → 49.9(‘90년) → 53.3%(’95년) → 54.2%('00년)→ 55.6%('05년)→54.2('10년)→56.8('15년)
- 자가점유율이 '90년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다가 '95년 53.3%로 증가한 것은 내집마련이 점차 어려워지다가 주택
200만호 계획(‘88~’92) 완료 이후 내집마련 여건이 개선되었음을 시사
- 지속적인 주택공급확대에도 불구하고 '10년에는 자가점유율이 54.2%로서 ’00년 및 '05년에 비하여 크게 개선되지 못한 것은 가구분화, 직장 등의 사유로 자가보유가구의 차가거주 비율 증가 등이 원인이 된 것으로 추정됨
* 자가보유율 : 60.3%('05년) → 61.3%('10년)
■ 국제비교
ㅇ 국제비교결과 일부 선진국에서도 자가점유율이 60% 대에서 정체되고 있는 모습을 보임
*영국('07년) : 71%, 미국('11년1/4분기) : 66.4%, 일본('08년) : 61.2%, 프랑스('04년) : 54.1%
(외국의 경우 자가보유율, 점유율을 구분하여 산정하지 않음)
'주부 재테크(절약, 생활 Tip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인천 서구 자동차세 연납신청 방법 (0) | 2023.01.12 |
---|---|
사용하지 않는 스타벅스 기프티 쿠폰 팔기 (0) | 2023.01.12 |
순금 1돈은 어느정도 일까요? 어떤 디자인의 주얼리가 가능한가? (0) | 2022.12.31 |
롯데케미칼(A011170) 유상증자 권리 어떻게 행사하나? (0) | 2022.12.29 |
댓글